강의계획서
2025.2-2 보육과정
강의교수 | 이수민 | 학점 | 3학점 |
---|---|---|---|
수강료 | |||
학습기간 | 2025/07/09 ~ 2025/10/28[15주] | ||
관련전공영역 |
학사 - 아동학 전공 전문학사 - 아동ㆍ가족 전공 |
과목개요 | 보육과정의 개념 및 이론적 기초를 습득하고, 국가수준 보육과정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. 이를 위해 보육과정의 목표, 내용, 방법, 평가, 보육계획 수립과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. |
---|---|
학습목표 |
① 보육과정의 개념과 기본원리 및 구성요소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. ② 발달심리학적 특성에 따른 보육과정의 구성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. ③ 보육과정 구성을 위한 목표, 내용, 방법 및 평가 요소들을 설명할 수 있다. ④ 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보육계획 수립과 구성요소 및 실제 운영내용의 기본사항들을 설명할 수 있다. ⑤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의 구성방향 및 영역별 특징을 정리할 수 있다. |
강의방법 | 본 강의 전 학습 목표와 학습 내용을 확인한다. 예측해 보기와 핵심키워드를 통해 학습 내용을 사전에 예측한다.본강의는 전자칠판을 이용한 PPT 형식으로 학습 내용별 구분이 되어있어 복습 시 필요 부분만 학습할 수 있다. 학습 후 퀴즈, 학습정리를 통해 스스로 학습 내용을 점검하고 자기화할 수 있다. 강의와 시험 외에 퀴즈, 토론, 과제를 통하여 가족관계론의 효과적인 학습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. |
교재/참고문헌 | 교안 |
평가기준 | _ |
성적분포 | A이상: 30% 이내, B이상: 70% 이내, C 이하: B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비율 |
평가기간 |
1. 중간퀴즈 > 2025년 8월 13일 수요일 ~ 2025년 8월 19일 화요일 2. 중간고사 > 2025년 8월 29일 금요일 ~ 2025년 9월 2일 화요일 3. 기말퀴즈 > 2025년 10월 1일 수요일 ~ 2025년 10월 7일 화요일 4. 기말고사 >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~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5. 토론 및 과제 > 2025년 7월 30일 수요일 ~ 2025년 9월 23일 화요일 6. 참여도 > 2025년 7월 30일 수요일 ~ 2025년 10월 7일 화요일 |
성적이의신청기간 | 2025년 10월 29일 ~ 2025년 10월 31일 |
주/차 | 제목 | 총강의 시간 |
---|---|---|
1-1 | 보육과정의 개념과 수준 및 특성과 원리 | 00:47:58 |
① 보육과정의 개념 ② 보육과정의 수준 ③ 보육과정의 특성 ④ 보육과정의 원리 | ||
1-2 | 보육의 질과 보육과정 | 00:32:14 |
① 가정에서의 양육과 어린이집에서의 양육 ② 영유아기의 애착형성과 보육의 질의 중요성 | ||
2-1 | 프뢰벨의 교육철학과 보육과정 | 00:19:58 |
① 프뢰벨 교육철학에 영향을 준 사상가들의 이론 ② 프뢰벨 교육철학이 보육과정에 미친 영향 | ||
2-2 | 듀이와 몬테소리의 교육철학과 보육과정 | 01:04:04 |
① 듀이의 교육사상 ② 듀이의 실험학교의 교육내용 및 방법 ③ 몬테소리의 교육사상 ④ 몬테소리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및 방법 | ||
3-1 | 성숙주의, 정신분석학 및 행동주의, 인지발달 이론과 보육과정 | 00:59:56 |
① 성숙주의 이론과 보육과정 ② 정신분석학 이론과 보육과정 ③ 행동주의 이론과 보육과정 ④ 인지발달 이론과 보육과정 | ||
3-2 | 다중지능 및 생태학 이론과 보육과정 | 00:22:27 |
①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과 보육과정 ② 생태학 이론과 보육과정 | ||
4-1 | 아동권리 인식 및 가족구조의 변화와 보육과정 | 00:30:25 |
① 아동권리 인식과 보육과정 ② 저출산 및 가족구조의 변화와 보육과정 | ||
4-2 | 여성의 사회경제 참여와 정보화 사회 그리고 세계화와 지역사회와 보육과정 | 00:47:51 |
① 여성의 사회경제 참여와 보육과정 ② 정보화 및 감성중심의 창조사회와 보육과정 ③ 세계화 및 전통문화와 보육과정 ④ 지역사회와 보육과정 | ||
5-1 | 보육과정의 구성원리와 목표설정 그리고 내용 조직 및 교수·학습방법 | 00:53:15 |
① 보육과정의 구성원리 ② 보육과정의 목표설정 ③ 보육과정의 내용 조직 ④ 보육과정의 교수-학습방법 | ||
5-2 | 보육과정의 평가와 어린이집 평가제 | 00:30:23 |
① 보육과정의 평가 ② 어린이집 평가제 | ||
6-1 | 영·유아반 보육과정 운영계획 | 00:52:42 |
① 0-1세 영아를 위한 보육과정 운영계획 ② 2세 영아를 위한 보육과정 운영계획 ③ 3-5세 유아를 위한 보육과정 운영계획 | ||
6-2 | 0-1세 영아반의 하루 일과운영 | 00:28:21 |
① 0세 영아를 위한 일과운영 ② 1세 영아를 위한 일과운영 | ||
7-1 | 2세 영아반 및 3-5세 유아반의 하루 일과운영 | 00:28:20 |
① 2세 영아를 위한 일과운영 ② 3-5세 유아를 위한 일과운영 | ||
7-2 | 영유아 학급구성 및 집단구성 및 영유아를 위한 환경 구성 | 01:00:12 |
① 학급구성 원리 ② 집단구성 원리 ③ 유아를 위한 환경구성 ④ 실외 환경구성 | ||
9-1 | 부모참여 및 협력과 보육과정 | 00:33:22 |
① 부모참여의 필요성 ② 어린이집 부모협력 유형별 운영방법 | ||
9-2 | 지역사회와 보육과정 연계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 및 자원활용 | 00:56:39 |
① 지역사회 연계의 필요성 ② 지역사회 자원의 종류 ③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 ④ 전문가와의 협력 | ||
10-1 | 표준보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| 00:27:17 |
① 표준보육과정의 개발 배경 ② 표준보육과정의 목표 ③ 표준보육과정의 운영 | ||
10-2 |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내용 1,2 | 01:05:29 |
① 기본생활 영역의 목표와 연령별 내용 ② 신체운동 영역의 목표와 연령별 내용 ③ 의사소통 영역의 목표와 연령별 내용 ④ 사회관계 영역의 목표와 연령별 내용 | ||
11-1 | 제4차 표준보육과정의 내용 3 | 00:34:57 |
① 예술경험 영역의 목표와 연령별 내용 ② 자연탐구 영역의 목표와 연령별 내용 | ||
11-2 | 누리과정의 제정과 개정 및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이해 | 00:48:03 |
① 누리과정의 제정과 개정 ② 국가 수준 교육과정으로서 누리과정과 개정 취지 ③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주요 개정 내용 ④ 2019 개정 누리과정의 구성 방향 | ||
12-1 |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신체운동건강 영역 | 00:34:47 |
① 신체운동건강 영역의 성격 및 목표 ② 신체운동건강 영역의 내용 및 유아 경험의 실제 | ||
12-2 |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의사소통/사회관계 영역 | 00:48:06 |
① 의사소통 영역의 성격 및 목표 ② 의사소통 영역의 내용 및 유아 경험의 실제 ③ 사회관계 영역의 성격 및 목표 ④ 사회관계 영역의 내용 및 유아 경험의 실제 | ||
13-1 |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예술경험/자연탐구 영역 | 00:52:24 |
① 예술경험 영역의 성격 및 목표 ② 예술경험 영역의 내용 및 유아 경험의 실제 ③ 자연탐구 영역의 성격 및 목표 ④ 자연탐구 영역의 내용 및 유아 경험의 실제 | ||
13-2 | 하이스코프 프로그램 | 00:28:41 |
① 이론적 배경 및 교육관 ② 구체적 내용 및 교사의 역할 ③ 시사점 | ||
14-1 |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과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| 01:00:41 |
①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과 교육관 및 교사의 역할 ②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의 현장 적용에 따른 시사점 ③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과 교육관 및 교사의 역할 ④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에 따른 시사점 | ||
14-2 | 발도르프 프로그램 | 00:25:23 |
① 이론적 배경 및 교육관 ② 구체적 내용 및 교사의 역할 ③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현장적용에 따른 시사점 |